刑
刑이란 희생을 시켜서 목적을 달성한다는 의미로서 수술,조정,구설,형벌 등을
나타내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강제적으로 다듬어서 용도에 맞게 변화를 시키는 것을 의미하므로
희생을 전제로 합니다.
그러나 형은 현실적인 타협성과 조정력등을 의미하므로 반드시 안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 형살의 성립원리
1. 인묘진 方局과 신자진水局이 만나 수생목이 되어 엄청난 목기운이 생긴다.
2. 사오미 方局과 인오술火局이 만나 목생화가 되니 더욱 旺火가 형성된다.
3. 신유술方局과 사유축 金局이 만나 金이 더욱 왕해져서 刑傷을 한다.
4. 해자축 水局과 해묘미 木局이 만나 수생목이 되니 엄청난 목의 기운이 형성되어
中和의 道를 잃으니 刑한다.
-- 형살의 종류
1. 인사신 三刑
지세지형(持勢之形)으로서 자신의 세력만 믿고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으로
행동을 하니 형액을 당하기 쉽다.
2. 축술미 三刑
土끼리의 刑이니 무은지형(無恩之形)으로서 은혜를 모르고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고 합니다.
3 진진/오오/유유/해해 자형(自形)
같은 지지끼리 刑하니 自刑이라 하여 사주에 이와같은 글자가
있으면 성품이 포악하고 재앙을 겪기 쉽다고 합니다.
-- 형살의 작용
일반적으로 명중에 三刑이 있으면 냉정하고 의리가 없거나 좌절,실패 등을 초래하기
쉽고, 여명에 三刑이 있으면 고독하고 유산할 가능성이 많으며 골육간에 불화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三刑이 있어도 격이 양호하고 사주구성이 청하면 오히려 길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좋은 기능을 합니다.
인사신과 축술미 삼형살은 대운과 세운에서 성립될 때 많은 변화를 가져옵니다.
형은 충과 마찬가지로 형이 성립되면 해당 지지의 지장간이 튀어 나옵니다.
튀어나온 지장간이 일간과 합이되거나 타간과 합이 되지 않을 경우 해당 지지의
지장간이 뜻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실제로 본인사주에 형의 글자가 존재하고 대운과 세운에서 재차 형살이 들어오면
잃는 것도 있지만 얻는 것이 더 많은 경우를 목도하게 됩니다.
지지의 형충회합을 잘 볼 수 있어야 진정한 역술인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사주의 형충회합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분야입니다.
단순히 신살 몇개 외워 궁합보고 사주보는 사람이 작명하면 안됩니다.
사주명리학을 제대로 공부해야 진정 올바른 작명이 가능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