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章] 從化論
從格과 化格 및 假從, 假化의 정의와 특성을 다룹니다.
[TEXT]
從得眞者只論從 從神又有吉和凶, 化得眞者只論化 化神還有機般說
眞從之象有幾人 假從亦可發其身, 假化之人亦可貴 孤兒異性能出類
<풀이>
從格은 다만 從을 論하고(日干의 强弱과 관계없이), 從한 五行 이라고 해도 吉한 것이 있고 나쁜 것이 있습니다. 化格은 다만 化한 五行만을 論하고, 行運에 化五行이 돌아오면 다소(幾:조짐) 말이 있을 것입니다. 완전한 從格의 命造도 약간 있으며, 假從이라 해도 또한 貴命 이 될 수 있습니다. 假化의 命造도 역시 貴함이 있으며, 고아나 다른 성을 갖는 부류도 나올 것입니다.
[COMMENTARY]
1. 하나의 命造를 從格으로 규정하게 되면, 日干의 强弱여부 및 中和의 논리를 떠나, 오로지 從한 기운을 따라 吉凶을 論하게 됩니다.
2. 化格 역시 化한 五行의 기운에 順하면 吉善한 것이고, 이를 거스르면 凶한 것입니다. 따라서 化五行을 기준으로 財, 官을 정하고 이로써 行運을 推論하며, ‘化神還有`란 甲日干이 己土를 만나 化土格이 성립되었을 때, 行運에서 甲運이나 己運을 만나는 것을 의미하는 바, 이 경우 甲은 官, 己는 比劫運으로 간주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爭合이니 투합(妬合) 등의 의견이 분분할 수 있습니다만, 이는 채용하지 않습니다.
化土 行運 化土 行運
○甲己○ 甲→官 ○甲己○ 己→比劫
3. 眞從의 경우도 더러 있으나, 假從格이 더욱 많으며, 이 역시 運의 추이에 따라 貴함을 누립니다.
4. 假化格 역시 마찬가지로 貴함을 누리며, 대개 유년기 곤고함을 겪는 사례가 많은 바, 양부모를 온전히 두지 못하는 경우로 나타납니다.
[CASE STUDIES]
여기에서는 사례별로 眞從(外格)이냐 不從(內格)이냐, 또 眞從이냐 假從이냐를(化格도 마찬가지로) 판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례를 예시합니다. 명조 1에서 8까지는 장요문(張耀文)의 ‘滴天髓奧義(적천수오의)’에서 인용하였습니다.
1. 不從 內格
丙丁火의 기세가 太旺하고, 日干 庚金의 뿌리가 없으니, ‘從殺格`이 될 듯하나, 內格의 偏官格입니다. 이처럼 陽干의 경우 天干 印星(戊土)이 出하면, 좀체 從格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戊庚丙丁
寅午午卯 辛乙辛癸
▽▽▽▽ 巳丑酉酉
戊丙丙甲 ▽▽▽▽
丙己己 戊癸庚庚
甲丁丁乙 壬辛
庚己辛辛
2. 不從 內格 : 위와 마찬가지로 乙木의 印星 癸水가 투(透)하여 從格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다만 陰干의 경우는 天干의 印星이 地支에 通根하여야 합니다.
3. 眞從 外格 : 巨富의 命造로 ‘從財格`입니다. 寅午戌 三合局을 형성하고, 丙火로 透했으니, 그 기세를 거스르기 어렵습니다. 이때 壬水 陽干이 辰土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어떻게 從하냐는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日干 陽干의 경우라도 月令을 얻지 못하고, 天干에 印星이 없으면, 從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印星`은 身弱命의 從格을 판별하는 열쇠가 됩니다.
丙壬甲戊
午戌寅辰 甲辛乙戊
▽▽▽▽ 午亥卯寅
丙辛戊乙 ▽▽▽▽
己丁丙癸 丙戊甲戊
丁戊甲戊 己甲 丙
丁壬乙甲
4. 眞從 外格 : 印星 戊土가 투(透)했으나 고립되어, 陰干인 辛日干을 제대로 生助하지 못하는 無情의 관계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印星과 日干이 이격되어 분리되면, 대개 從하는 사례가 많으나, 印星 戊土가 通根하여 出한 이상은, 한번쯤 命式의 과거 상황을 귀납적으로 유추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眞從 外格 : 從殺格의 命造입니다. 이 命造를 두고 透派는 地支 寅亥合·卯戌合으로 天干 木火의 뿌리 작용을 잃으니, 假從으로 봅니다만, 地支의 合은 그 성분을 잃지 않으므로 眞從으로 간주하여 무방합니다. 支合의 관점에서 저는 ‘透派’와 견해를 다소 달리 합니다. 地支의 六合은 地支 고유의 성분이 다소 희석되어, 그것에 뿌리를 내린 天干의 힘을 무력화 시키는 작용을 합니다만, 六沖과 같이 크게 傷하는 일은 없습니다.
丁庚丁甲
亥寅卯戌 乙己丁壬
▽▽▽▽ 亥卯未寅
戊戊甲辛 ▽▽▽▽
甲丙 丁 戊甲丁戊
壬甲乙戊 甲 乙丙
壬乙己甲
6. 假從 外格 : 壬丁合으로, 從殺格의 命造가 되니 假從입니다. 天干이 合이 되면, 化한 五行을 채용하지 말고, 단지 각 글자가 그 사명을 완전히 잃어버린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를테면 甲과 己가 合하면 두 기운 모두 소멸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추론에 활용하는 관법이 타당합니다.
이는 格을 규정하거나 行運을 추론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간주되며, 혹 干合된 天干을 用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또한 日干의 合은 그것이 ‘化格`이 성립되지 않는 한 合化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