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 사주명리학 > 격국론
즐겨찾기HOME 로그인회원가입사이트맵

 
작성일 : 12-03-29 15:49
격국론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30,158  
격국(格局)은 사주의 그릇이며 틀이다. 커다란 그릇 안에는 수만가지 물건들이 담길 수 있고, 또 무엇을 담아두느냐에 따라 그릇은 각각 다른 역할을 한다. 또 격국은 사람에게 있어 체질과도 같다. 인간의 체질은 약산성, 산성, 알칼리성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같은 병이라도 체질에 따라 각 기 다른 처방을 하듯 사주도 어느 격국이냐에 따라 다른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주의 격국은 사주팔자의 작용을 규정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용신도 결정되는 것이다.

격국은 일반적으로 내격(內格)과 외격(外格)으로 크게 나눈다. 외격은 변격(變格)이라고도 하며 대체로 전왕격(專旺格), 종격(從格), 종화격(從化格) 등으로 분류하고 이외에도 40 여개의 제격(諸格)이 있다.


격국(格局) 찾는 3대 원칙

첫째, 월지(月支)와 같은 오행, 즉 월지(月支)의 지장간(支藏干)을 보아 정기(正氣)에 해당하는 글자가 천간에 나와 있는 것으로 정관이 나오면 정관격, 식신이 나오면 식신격이 된다.

둘째, 월지(月支)의 정기가 천간에 없을 때는 중기(中氣)나 여기(餘氣)로 격국을 정한다. 그런데 여기서 중기나 여기 중 강한 쪽의 오행을 선택하여 격국을 정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셋째, 월지(月支)의 지장간이 천간에 하나도 나타나 있지 않거나 다른 오행에 의해 파국되어 있으면 그대로 월지(月支)의 정기를 따라 격국을 정한다.


1. 내격(內格)

1) 인수격(印綬格)
인수격(印綬格)은 편인과 같이 일간(日干)을 생해주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다르면 된다. 예를 들면 甲 일간(日干)은 자월(子月), 乙 일간(日干)은 해월(亥月)에 태어나는 것과 같은 형태의 것을 말한다.

그 성질과 작용은 편인과 대동소이하여 대부분 편인과 함께 인수격이라 한다. 그러나 격을 이루는 방법에 차이가 있어 굳이 한데 묶지 않았으나 내용은 편인을 참고하면 된다.

乙 甲 丙 己 乾
亥 子 子 亥

위 사주는 甲 일주가 자월(子月)에 태어났으므로 인수격이나 일간(日干)을 생해주는 인성이 많아 외격인 종강격에 가깝다고 본다. 어쨌든 강한 자는 반드시 설기해야 하고 또 자월(子月)은 추운 계절이라 丙火를 용신으로 하므로 火土 대운에 크게 발한다.

2) 편인격(偏印格)
편인격은 일간(日干)을 생해주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같으면 성립된다. 따라서 甲 일간(日干)은 亥月, 乙 일간(日干)은 자월(子月)에 태어난 것을 말한다. 인수나 편인은 부모와 같아 일간(日干)을 생하여주니 두려운 것이 없다. 사람됨에 있어서도 심성이 착하고 학문을 숭상한다.

편인은 관살이 생하는 것을 기뻐하며 관살이 일간(日干)을 해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편인이 많으면 일반적으로 자식이 늦거나 없고 여명(女命)은 유산이 잘 된다.

癸 丁 乙 癸 坤
卯 未 卯 卯

위 사주는 丁 일간(日干)이 묘월(卯月)을 만났고 묘미(卯未) 목국(木局)을 이루어 편인격이다. 전체적으로 묘미(卯未) 목국(木局)을 이루어 인수가 왕(旺)해 설기하는 土를 용신으로 삼는다.

다행히 운로가 巳午未 남방 화운(火運)으로 달리고 있어 매우 길하다. 이와 같은 명(命)은 수목운(水木運)에는 불길하여 크게 실패할 우려가 있다.

3) 건록격(建祿格)
건록격이란 일간(日干)과 월지(月支)가 같은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경우를 말한다. 즉 甲 일주(日主)는 寅月, 乙 日主는 卯月과 같은 형태이다.

건록격은 조상의 유산이 적고 혹 있더라도 털어먹고 자수성가하게 되며 식상과 재성이 있으면 재물을 모을 수 있고 관성이 있으면 반드시 재성이 있어 생해주어야 한다.

만약 재관이나 상식이 지위를 얻지 못하면 신왕무의[身旺無依, 일주(日主)가 왕(旺)하나 의지처가 없다]로 평생 고생을 많이 한다.

재성만 있고 식상이 없으면 왕(旺)한 비겁을 설기하지 못하여 불길하다. 관성과 상식이 없는데 재성만 있으면 비겁이 서로 싸우는 바, 재성운을 만나면 큰 화가 발생하니 처첩이나 재물에 재앙이 따른다.

壬 壬 己 辛 坤
寅 子 亥 丑

위 사주는 壬水가 亥月에 태어나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아 건록격인데 支에 亥子丑 북방 수국(水局)을 이루고 천간에 金水가 많아 신왕하니 시지(時支) 寅 중 甲木을 용신으로 삼는다. 일주(日主)가 왕(旺)한데 寅 중 甲木이 왕(旺)한 水를 설기하고 있어 길하니 인묘진운(寅卯辰運)에 발전하게 되는 명(命)이다.

4) 양인격(羊刃格)
양인격은 겁재와 같이 일간(日干)과 월지(月支)의 오행이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경우가 된다. 甲 일간(日干)이 卯月, 乙 日干이 寅月에 태어난 경우가 이에 해당하나 乙 일간(日干)처럼 음 일주(陰 日主)인 경우는 제외하고 甲 일간(日干)이 卯月生, 丙 일간(日干)이 午月生, 戊 일간(日干)이 午月生, 庚 일간(日干)이 酉月生, 壬 일간(日干)이 子月生인 경우만 양인격으로 본다.

양인격의 남명(男命)은 처궁이 불길하고 여명(女命)은 남편궁이 불길하다. 다만 일지(日支)에 용신이 있는 경우는 예외이며 오히려 배우자궁이 좋다.

양인은 칠살과의 합을 기뻐하며 권위 있는 직업에 진출하여 법관이나 무관, 의사가 많다. 재물에 손재가 있어 파산하는 일이 많으나 칠살이 있으면 길하고, 양인이 왕(旺)한데 칠살이 약하면 재성이 필요하다.

관살이 나와 강한 일주(日主)[양인]를 제복함이 없거나 식상의 설기함이 없으면 양인의 왕생(旺生)운이나 묘(墓)운에 예측하지 못한 화가 생긴다.

약한 일주(日主)가 양인의 도움을 받으면 길하나 원국에서 양인을 충하고 운로에서 양인을 또 충하면 큰 화를 당하게 된다.

庚 甲 丁 甲 乾
午 辰 卯 子

위 사주는 甲 일간(日干)이 卯月에 태어나 양인격에 해당하며 일주(日主)가 왕(旺)한 형태라 양인을 합하는 시상(時上) 庚金을 용신으로 삼아 귀격이 된다.

時에 庚金이 약하나 日支 辰土에 생을 받아 화토운(火土運)에 더욱 생기를 얻으니 권력있는 집안에서 태어나고 사회에 나와서는 출세가도를 달리는 명(命)이다.

5) 식신격(食神格)
일간(日干)이 월지(月支)를 생하되 음양이 서로 같은 경우를 식신이라 하고 이 사주를 식신격이라 한다. 즉 甲 일간(日干)이 사월생(巳月生), 乙 일간(日干)이 오월생(午月生) 등이면 식신격이 된다.

식신은 의복과 밥을 뜻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의 기본이 되는 것들이다. 원명(原命)에 인성이 있어 생해줌을 기뻐하고 인성을 대운에서 만나면 발달한다. 즉 일주(日主)가 약함을 보충하여 강해지면 길하다.

그러나 식신격이라도 인성이 많으면 재성이 있어야 하고 또 재성이 지나치면 관살이 있어야 길하니 이는 모든 격국이 지나치거나 부족함을 피하고 중화됨을 원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하겠다.

壬 乙 丙 丁 坤
午 巳 午 酉

위 사주는 乙 일주(日主)가 오월(午月)에 태어났으므로 식신격이다. 火가 많으므로 일주(日主)가 약한데 시상(時上)에 壬水가 있어 약함은 면하나 근지(根支)가 약해 대운에서 용신을 생하는 금수운(金水運)을 만나면 발전한다.

6) 상관격(傷官格)
상관격도 식신격과 같이 일간(日干)이 생하는 월지(月支)의 경우를 말하는데 다만 그 음양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甲 일주(日主)는 오월(午月), 乙 일주(日主)는 사월(巳月)이 된다.

상관은 말 그대로 관을 극하는 것으로 명조에 상관이 많거나 강하면 흉하다. 따라서 일주(日主)가 신왕해야 하며 재성과 인수가 같이 있으면 흉한 작용이 약해진다. 상관격에 일주가 신왕하면 재성이 있어야 길하며 만약 재성이 없으면 기술자가 되거나 가난하게 일생을 보낸다.

상관격은 총명하고 출중하여 문인, 학자, 예술가 등에 많으며 부귀도 이룬다. 그러나 성격이 오만하고 자기 주장만 내세우며 타인의 말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여명(女命)인 경우는 고집이 세고 남편덕이 없어 혼자 살거나 결혼해도 과부가 되는 수가 많다.

己 辛 己 辛 坤
丑 亥 亥 丑

위의 사주는 辛金 일주(日主)가 亥月에 태어났으므로 상관격인데 천간지지에 丙丁火 관성이 없어 안타깝다. 따라서 초년 고생이 심하고 혼기가 늦은 감은 있으나 진사운(辰巳運)에 결혼도 하게 되며 부를 이뤄 발전할 수 있는 명(命)이다.


7) 정재격(正財格)
일간(日干)이 월지(月支)를 극하고 음양이 서로 다른 사주를 말하니 甲 일간(日干)은 丑, 未月, 乙 일간(日干)은 辰, 戌月에 생하는 것을 정재격이라 한다.

정재격은 재생관살(財生官煞)하므로 일주(日主)가 왕(旺)함을 필요로 하는데 신왕하고 재가 약한 경우에는 식신, 상관이 있어 재(財)를 생해야 한다. 반대로 신약하고 지(財)가 많으면 이 또한 불길하다.

庚 庚 己 乙 乾
辰 寅 卯 亥

위 사주는 庚金이 卯月에 태어났고 乙木이 천간에 있으므로 정재격인데 乙木이 亥, 卯, 寅, 辰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재왕(財旺)하다. 따라서 庚 일주가 실령(失令)하니 도와줄 時支 辰土와 일지(日支) 寅 중 丙火를 용신으로 삼는다. 이 때 인성운은 길하나 재나 식상운은 대흉하다.


8) 편재격(偏財格)
일간(日干)이 월지(月支)를 극하되 음양이 같아 음일간(陰日干)에 음월지(陰月支), 양일간(陽日干)에 양월지(陽月支)로 만나게 되면 이를 편재격이라 한다. 즉 甲 일간(日干)이 辰, 戌月, 乙 일간(日干)이 丑, 未月에 태어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일주(日主)가 왕(旺)하고 재성이 약하면 길하고 또 일주(日主)가 약한데 재성이 왕(旺)하면 불길하다. 편재는 그 짝용이 크고 의기(意氣)가 있으며 재물을 쓰는데 주저함이 없어 기복이 심하다.

年, 月, 日에 정재나 편재가 없고 시(時)에만 편재가 있을 때는 시상편재격(時上偏財格)이라 하는데 일주가 왕하고 식상운을 만나면 부귀를 크게 이룰 수 있다. 이 때 일주(日主)가 약하면 일주(日主)를 생하는 인성을 만나야 하며 지지에 재성국(財星局)을 이루는 것을 꺼린다.

癸 癸 丁 丁 乾
丑 酉 未 卯

위 사주는 癸水가 未月에 태어나 언뜻 보기에는 편관격 같으나 未 중에 丁火가 년월간(年月干)에 나와 편재격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 년월간(年月干)에 丁火 편재가 未에 뿌리를 두고 있어 강하고 癸水 일주(日主)가 일시지(日時支)의 酉丑 금국(金局)에 의해 생을 받고 있어 약하지 않으나 월지(月支)를 얻지 못하여 金水를 약하게 본다. 따라서 금수운(金水運)은 길하고 목화운(木火運)은 불길하다.


9) 정관격(正官格)
일간(日干)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서로 다른 사주를 말한다. 즉 甲 일간(日干)이 酉月, 乙 일간(日干)이 申月에 태어나는 경우에 정관격이 된다.

남명(男命)인 경우 정관은 벼슬자리와 같고 여명(女命)인 경우 남편과 같다. 관성이 왕(旺)하고 일주(日主)가 약하면 인성이 있어 일주(日主)를 생해야 하고 재성이 오면 흉한 관성을 도와 오히려 불길하다.

관성이 약하고 일주(日主)가 왕(旺)하면 재성이 있어 약한 관성을 도와주면 길하다. 관성이 지나치게 왕(旺)하면 관운이 불길하고 약해도 불길하니 대체로 정관격에 관운이 오면 해가 많다고 본다.

丙 戊 丁 己 乾
辰 申 卯 卯

위 사주는 戊土 일주(日主)가 卯月에 태어나 정관격인데 년월지(年月支) 卯 정관이 왕성해 일주(日主)가 태약하다. 따라서 균형을 이루고 일주(日主)의 약함을 보완하려면 시주(時柱)의 丙辰을 용신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화토운(火土運)이 길하고 금수운(金水運)은 불길하다.


10) 편관격(偏官格)
일간(日干)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같으면 편관격이 된다. 즉 양일간(陽日干)에 양월지(陽月支), 음일간(陰日干)에 음월지(陰月支)가 편관이 되니 甲 일간(日干)은 申月, 乙 일간(日干)은 酉月에 태어난 것과 같은 형태가 되면 편관격이라 한다.

일간(日干)을 극하므로 칠살이라고도 하는데 이 극을 막기 위해서 우선 일주(日主)가 신왕해야 하며 만약 신약하면 상관이나 인성 또는 양인이 있어 칠살을 제어하면 오히려 길함을 가져올 수 있다.

己 丁 戊 庚 乾
酉 未 子 辰

위 사주는 丁火 일주(日主)가 子月에 태어나 실령하였으므로 신약한데 더욱 금신(金神)이 많고 子辰 수국(水局)하여 칠살이 왕성하다. 다행히 천간에 戊土가 나왔고 일지(日支)에 未土가 있어 칠살을 제거하고 일간(日干)을 도와주어 운로 木火土에 발전하는 길한 명(命)이 되었다.


2. 변격(變格)

변격은 내격(內格)에 대응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외격(外格)이라고도 한다. 변격은 내격만큼 그 쓰임이 많지 않고 작용면에 있어서도 영향력이 크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알아보는 정도에 그쳐도 무방하다.

1) 전왕격(專旺格)
① 목일곡직격(木日曲直格)
甲乙木 일주(日主)가 寅卯辰月에 생하거나 또는 亥卯未 목국(木局)을 이루고 木을 극하는 금신(金神)이 없으면 곡직격이 된다.

이 격은 일반적으로 수목화운(水木火運)이 길하고 토금운(土金運)은 흉하다 하나 木이 안착함을 요하여 약간의 토기(土氣)는 있어야 더욱 길한 명조가 된다. 명조가 이 곡직격을 이루면 덕망있고 자비심이 있는 선비형의 사람이 된다.

癸 乙 乙 癸
未 卯 卯 未

위 사주는 乙木 일주(日主)가 卯月에 생하고 支에 亥卯未 목국(木局)을 이루고 간(干)에 수목(水木)이 있고 木을 극하는 금신(金神)이 없어 곡직격이 된 것이다.


② 화일염상격(火日炎上格)
丙丁火 일주(日主)가 巳午未月에 생하든지 寅午戌 삼합(三合)을 이루고 火를 극하는 수신(水神)이 없으면 염상격이 된다. 이 격은 대운에서 목화토운(木火土運)을 만나면 길하고 금수운(金水運)은 흉하다.

염상격은 불탄 후에 재가 날라가는 격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수명이 짧다고 보나 일반론에서는 귀격(貴格)으로 본다.

甲 丙 丙 丁
午 寅 午 未

위 사주는 丙火 일주(日主)가 오월(午月)에 생하고 지(支)에 寅午未가 있어 화국(火局)을 이루고 간(干)에 甲丙丁 木火가 있고 火를 극하는 수신(水神)이 없어 염상격에 해당한다.


③ 토일가색격(土日稼穡格)
戊己土 일주(日主)가 辰戌丑未月에 생하여 火土가 모두 갖추어지고 土를 극하는 관성인 목신(木神)이 없으면 가색격이 된다. 이 격(格)은 대운에서 화토금운(火土金運)을 만나면 길하고 수목운(水木運)은 흉하다.

가색격은 본래 농사를 짓는다는 뜻으로 명조가 가색격을 이루면 인품이 좋고 부(福)와 수(壽)가 겸전(兼全)한다고 한다.

丙 戊 己 戊
辰 午 未 戌

위 사주는 戊土 일주가 未月에 생(生)하여 지(支)에 辰午未戌의 火土를 모두 갖고 있으며 간(干)에서 丙己戊를 가지고 있어 사주(四柱) 전체가 火土로 구성되었고 가색격을 파(破)하는 목신(木神)[甲乙木]이 없어 가색격을 이룬 것이다.

④ 금일종혁격(金日從革格)
庚辛金 일주(日主)가 申酉戌 서방에 태어나든지 巳酉丑 삼합(三合) 금국(金局)이 되고 金을 극하는 화신(火神)이 없으면 종혁격이 된다. 이 격은 대운에서 금토수운(金土水運)은 길하고 목화운(木火運)은 흉하다. 명조가 종혁격을 이루면 기골이 장대하고 강하며 의협심이 많다.

己 辛 庚 戊
丑 巳 申 戌

위 사주는 辛金 일주(日主)가 申月에 태어나고 간지가 토금신(土金神)으로 이루어지고 종혁격을 파(破)하는 화신(火神)[丙丁巳午]가 없어 종혁격을 이룬 것이다.


⑤ 수일윤하격(水日潤下格)
壬癸水 일주(日主)가 亥子丑 북방에 태어나거나 또는 申子辰 수국(水局)을 이루고 이 水를 극하는 토신(土神)이 없으면 윤하격이 된다.

이 격은 대운에서 금수목운(金水木運)을 만나면 길하고 토화운(土火運)은 흉하다. 명조가 윤하격을 이루면 지모 출중하나 정이 없고 정이 있어도 무덕(無德)한 것이 특징이다.

壬 癸 壬 壬
子 亥 子 申

위 사주는 癸水 일주(日主)가 子月에 태어나고 지(支)에 申子 수국(水局)하고 간(干)에 수신(水神)이 많은데 윤하격을 파(破)하는 토신(土神)이 없어 윤하격을 이룬 것이다.


2) 종격(從格)

① 종살격(從殺格)
사주내에 관살[正官, 偏官]이 많고 인수와 비견이 없어 일주가 관살의 기(氣)를 감당하지 못할 경우 별 도리 없이 관살의 세력을 따르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를 종살격이라고 한다.

이 격(格)은 관살을 생하는 재관운(財官運)을 대운에서 만나면 길하고 인수는 관기(官氣)를 설(洩)하고 일주를 도와주니 흉하며 비겁운도 흉하고 상식운은 관살을 극하므로 대단히 흉하다.

丙 庚 甲 丙 乾
戌 午 午 寅

위 사주는 庚金 일주(日主)가 午月에 태어나고 천간에 甲丙 재관이 있고 지지에 寅午戌 화국(火局)하여 관성이 왕(旺)한데 관성을 생조하는 비견이나 인성이 없어 종살격이 된다.


② 종재격(從財格)
일간(日干)이 태약하고 재성이 만국(滿局)이 되면 원국(原局)을 버리고 재(財)의 세력에 따르게 되는데 이 같은 경우를 종재격이라 한다.

이 격은 재성을 생하는 식상이나 재운이 대운에서 오면 길하고 일주(日主)를 도와주는 인성과 비겁운은 흉하며 관살이 오면 왕(旺)한 재(財)를 설(洩)하므로 길하다.

乙 壬 庚 丙 乾
巳 午 寅 寅

위 사주는 壬水 일주(日主)가 寅月에 태어나고 천간지지에 木火가 많아 재(財)의 세력에 쫒아 가게 되는데 다만 월상(月上) 庚金이 일주(日主)를 생하여 종재가 힘들다고 보나 다행히 년간(年干) 丙火로 화극금(火剋金)하고 지(支)에 寅午 화국(火局)하여 금(金)인성이 무력하여 종재격이라 본다.


③ 종아격(從兒格)
사주중에 식신과 상관이 너무 많아 일주(日主)가 태약하면 식신과 상관의 세력을 따르게 되니 이같은 경우를 종아격이라고 한다.

이 격은 식신 상관을 생하는 비견이나 겁재, 식신, 상관을 대운에서 만나면 길하고 재성운도 왕성한 식신, 상관을 설(洩)해주어 길하나 관성과 인성운을 만나면 일주(日主)를 극하고 또 식신, 상관을 극하여 대흉하다.

己 辛 癸 癸 乾
亥 亥 亥 亥

위 사주는 辛金이 亥月에 태어나고 간지(干支)에 수신(水神)인 식상이 만국(滿局)하여 종아격을 이루는데 시상(時上) 己土가 있어 일주(日主)를 생조함이 불길하나 己土가 간지에 뿌리가 없고 절이 되어 무력해져서 종아격을 무난히 이루었다.


④ 종강격(從强格)
사주상에 일주(日主)를 도와주는 비견이나 겁재, 인성이 많고 일주(日主)를 극하는 관성이나 인성을 극하는 재성을 만나지 않으면 종강격이 된다.

이 격은 일주(日主)를 도와주는 비견, 겁재, 인성을 대운에서 만나면 길하고 재성이나 관성을 만나면 흉하다. 원명에 인성이 없을 때는 식상운을 만나도 길하나 원명에 인성이 있을 때는 식상운이 인성을 극하여 대흉하다.

乙 甲 乙 癸 乾
亥 子 卯 卯

위 사주는 甲木 일주(日主)가 卯月에 태어나고, 亥卯 목국(木局)을 이루고 간지에 水木이 많아 종강격을 이루는데 일주(日主)와 인성을 극하는 토금신(土金神)이 없어 더욱 길하다.


3) 종화격(從化格)

① 갑기합화토격(甲己合化土格)
甲 일간(日干)이 일간(日干) 외에 다른 목기(木氣)가 없고 辰戌丑未나 火土로 구성되어 土의 세력에 따르기 위해 기(己)와 합(合)하여 종화하면 이를 갑기합화토격이라고 한다.

甲木이 화(化)하여 土가 되었으므로 대운에서도 같은 土를 생하는 화토운(火土運)을 만나면 길하고, 수목운(水木運)을 만나면 불길하다. 금운(金運)도 대체로 무방하나 庚이 나와 甲을 충하면 파격(破格)이 되어 흉하다.

己 甲 戊 己
巳 辰 辰 巳

위 사주는 甲木 일주(日主)가 辰月에 태어나고, 천간지지에 모두 土가 있고 일간이 時上 己土와 합(合)을 이루어 갑기합화토격에 해당한다. 또한 금신(金神)이 없어 파격되지 않은 것이 더욱 길하다.


② 을경합화금격(乙庚合化金格)
乙 일간(日干)에 庚字가 時나 월간(月干)에 있고 巳酉丑 금국(金局)이 되거나 금신월(金神月)에 태어나고 土金이 많으면 金이 세력에 따르기 위해 庚金과 합(合)하여 을경합화금격이 된다.

이 격은 金이 주체가 되니 대운에서도 金을 생조하는 토금운(土金運)을 만나면 길하고 목화운(木火運)을 만나면 흉하다. 수운(水運)은 원명에 금신(金神)이 많으니 대체로 무방하다.

庚 乙 乙 庚
辰 丑 酉 辰

위 사주는 乙木 일주(日主)가 酉月에 태어나고, 천간이 모두 을경합(乙庚合)이 되어 金으로 변하고 지지 또한 土金이 많아 을경합화금격에 해당한다.


③ 병신합화수격(丙辛合化水格)
丙 일간(日干)에 한 점 辛金이 있고 申子辰 수국(水局)이 되거나 亥壬癸 등 수기(水氣)가 전반에 걸쳐 나타나 있으면 水의 세력에 따르기 위해 丙火와 辛金이 합이 되어 병신합화수격이 된다.

이 격은 대운에서 합화한 水를 생하는 금수운(金水運)을 만나면 길하고 화토운(火土運)을 만나면 水火 상극으로 불길하다.

壬 丙 辛 壬
辰 申 亥 子

위 사주는 丙火 일주(日主)가 亥月에 태어나고, 支에 申子辰 수국(水局)을 이루고 간(干)도 金水가 있는데 丙火가 월상(月上) 辛金과 합하여 水로 변해 병신합화수격이 된다. 수근(水根)을 파(破)하는 土가 시지(時支)에 있으나 申과 합(合)하여 水로 변해 土의 구실을 할 수 없다.


④ 정임합화목격(丁壬合化木格)
丁 일간(日干)이 時나 月에 壬水가 있고 목기(木氣)가 성하면, 즉 寅卯辰月生이나 亥卯未 목국(木局)을 이루고 金神이 나오지 않으면 木의 세력에 따르기 위해 丁火와 壬水가 합하여 정임합화목격이 된다.

이 격은 대운에서 합화한 오행, 木을 생하는 수목화운(水木火運)을 만나면 길하고, 토금운(土金運)을 만나면 흉하며, 癸水가 나와 丁火를 충하면 파격(破格)이 되어 대흉하다.

壬 丁 乙 甲
寅 卯 亥 寅

위 사주는 丁火가 亥月에 생하였으나 지(支)에서 亥卯 목국(木局)하고 간지(干支)에 목신(木神)이 많아 비록 亥月이라도 丁火가 시상(時上) 壬水와 합(合)하여 정임합화목격이 된다.


⑤ 무계합화화격(戊癸合化火格)
戊土 일간(日干)이 시상(時上)이나 월상(月上)에 계자(癸字)가 있고 천간(天干)에 丙丁火가 있거나 지(支)에 寅午戌巳 등 화국(火局)이 형성되면 일간(日干) 戊가 癸와 합하여 무계합화화격이 된다. 이때 화격(火格)을 파하는 水가 천간지지에 나오지 않아야만 한다.

이 격은 대운에서 합화한 오행인 火를 생하는 목화운(木火運)을 만나면 길하고 금수운(金水運)을 만나면 흉하다. 특히 己土가 나와 癸를 충하면 파격으로 대흉하다.

戊 戊 癸 丙
午 戌 巳 戌

위 사주는 戊土 일주(日主)가 사월(巳月)에 생하고 간지(干支)에 모두 火土가 있어 흉하나 다행히 월상(月上)에 癸水가 있어 일간(日干) 戊와 합을 이뤄 화격(火格)을 이루었다. 따라서 길명(吉命)으로 바뀐 터에 원명에 金水와 己土가 안나와 더욱 상명(上命)을 이루었다.

위에 설명한 변격외에도 수십종의 잡격이 있으나 공부하는데 어려움만 가중되고 명(命)을 감정하는데 혼란만 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otal 10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사주결정에 있어서 절입조정,태어난 시간계산 산출 관리자 11-30 10433
공지 해외에서 출생한 사람의 사주 관리자 10-16 10983
공지 천간희기론,십간별 일대일 조합의 희기,十干別 一對一 조합… 관리자 07-05 13923
공지 사주명리학 공부방법 관리자 05-28 22022
29 천차만별 용신론 (用神論) 이제 끝냅시다. -이수- 관리자 03-29 6159
28 십이운성론(性談論) 관리자 03-29 3018
27 격국론 관리자 03-29 30159
26 父母運 보는 法(이수) 관리자 03-11 2582
25 처운(妻運) 보는 법(이수) 관리자 03-11 3439
24 자식운(子息運) 보는 法 관리자 03-11 3939
23 궁합론 관리자 03-07 3396
22 육임.육임점 소개 관리자 03-07 4745
21 육임이란 어떤 학문인가? 관리자 01-17 5433
20 2PM 박재범 사주. 박재범 사주분석. 관리자 01-17 14039
19 이효리 사주분석. 이효리 결혼 시기 관리자 01-17 35544
18 기초사주학 깨버리기 -AFU Dr.JK-| 관리자 01-17 7376
17 안철수 교수 사주분석(안철수 대통령?) 관리자 11-18 24450
16 신살론(神殺論) 2 관리자 11-18 22655
15 신살론(神殺論) 1 관리자 11-18 21067
14 용신법 관리자 10-10 4825
13 사주의 신강신약 판단기준과 용신 관리자 10-10 18965
12 육친의 종류와 해석 관리자 10-10 19646
11 24절기와 역학 관리자 10-10 2963
10 지장간 - 지지속의 천간 관리자 10-05 16702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