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은 예전부터 많이 돌아다니면 역마살이 끼었다고 했다.
뭐가 잘 안풀리면 살풀이를 해야한다고 말하곤 했다.
그 만큼 무슨무슨 살이라는 것이 우리에게 친숙한 용어이다.
신살이란 것에서 신은 좋은 의미로 작용하는 것을 말하고
살이라는 것은 흉의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살이 신보다 많다.
이러한 신살들은 사주를 보는 주류는 아니고 참고적으로 보는 하나의
부수적 도구이다.
이러한 신살 몇개 외우고 당사주로 사주를 보던 옛날시대도 있었다.
그러나 사주란 수천년간 이어온 하나의 거대한 지식체계이다.
이러한 사주의 철학세계에서 신살이 차지하는 부분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100여개 이상의 신살중 일부는 그 원칙과 논리가 나름 분명하고 검증된 것도 있으므로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1) 천을귀인(天乙貴人)
日干 |
天乙 |
甲戊庚 |
丑未 |
乙己 |
子申 |
丙丁 |
亥酉 |
辛 |
午寅 |
壬癸 |
巳卯 |
천을귀인은 옥당귀인(玉堂貴人), 천은귀인(天恩貴人)이라고도 하며 일간(日干)과
사주중의 지지를 대비하여 본다. 즉 甲, 戊, 庚 일주(日主)가 지지에 丑이나 未를 보거나 乙,
己 日主가 子, 申을 보는 경우에 해당한다.
사주에 천을귀인이 있으면 사람이 공명정대하고 더욱이 희신(喜神)에 해당하면
평생토록 재앙이 없고 죽음에 이르러서도 귀인(貴人)이 나타나 살 길을 열어준다.
만약 인수가 천을귀인에 해당하면 맹모(孟母)나 율곡모(栗谷母)와 같은 훌륭한 어머니를
만나며 글씨를 잘 쓰고 문장이 뛰어나 일세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친다.
또 식신이나 상관이 천을귀인에 해당하면 식복(食福)이 많고 재주가 출중하여 제자를
많이 두는 사도(師道)가 될 것이요, 재성에 천을귀인이 임하면 재복이 많으며 좋은
처(妻)를 만날 것이며, 관성이 천을귀인에 임하면 남편복과 관록복(官祿福)이 있어
출세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같이 천을귀인은 출중한 인물을 낳고 부귀공명을 누리게 하는 길신(吉神)에 해당한다.
궁(宮)으로 볼 때 천을귀인이 年支에 있고 형(刑), 충(沖), 파(破), 해(害)됨이 없으면
조상덕이 있고 천을귀인이 월지(月支)에 있고 형, 충, 파, 해되지 않으면 부모나
형제덕이 있으며 천을귀인이 일지(日支)에 있고 형, 충, 파, 해되지 않으면 현명하고
재복이 있는 여자를 만나며 천을귀인이 시지(時支)에 있고 형, 충, 파, 해되지 않으면
자손덕이 있고 자녀가 귀하게 된다고 했다.
그러나 천을귀인이 형, 충, 파, 공망(空亡)이 되면 귀인의 역할을 못해 고생하게 된다.
2) 월덕귀인(月德貴人)
月支 |
月德 |
亥卯未 |
甲 |
寅午戌 |
丙 |
巳酉丑 |
庚 |
申子辰 |
壬 |
천덕귀인과 거의 유사한 작용을 하는 월덕귀인은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하여
천간(天干)을 본다. 월덕귀인이 있으면 물질에 덕이 있어 부유함을 누리게
되고 좋은 사람을 만나 일생을 부귀공명하게 살 수 있다.
寅月이나 午月, 戌月에 태어난 사람이 사주에 丙이 있으면 월덕이요, 亥月,
卯月, 未月生은 甲을 만나 월덕귀인이 된다. 또 巳, 酉, 丑月生은 庚을 만나
월덕을 갖추게 된다.
이 때에도 월덕이 용신(用神)이고 튼튼해야지 만약 흉신(凶神)이면 월덕의
역할은 없어지게 되고 형(刑), 충(沖)을 피해야만 그 가진 길의(吉意)가 산다.
혹자는 자신이 월덕이 있어 아무리 다른 사람과 싸워 때려도 일생 관재(官災)가
없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월덕이 있는 사람은 도둑질을 하거나
나쁜 짓을 해도 관재수가 없다는 것인가? 그건 그렇지 않다. 월덕의 길흉에
대해 쉬이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3) 천덕귀인(天德貴人)
月支 |
天德 |
寅 |
丁 |
卯 |
申 |
辰 |
壬 |
巳 |
辛 |
午 |
亥 |
未 |
甲 |
申 |
癸 |
酉 |
寅 |
戌 |
丙 |
亥 |
乙 |
子 |
巳 |
丑 |
庚 |
길신(吉神)인 천덕귀인은 월지(月支)를 중심으로 본다. 즉 앞의 도표에서와 같이
寅月生이 丁火를 보면 천덕귀인이라 한다. 천덕귀인이 사주중에 있으면 선조의
유덕(遺德)이 있고 관운(官運)이 좋으며 심성이 좋다.
또 하늘의 은총을 받는다는 길성(吉星)으로 악살(惡煞)을 풀어주고 재액(災厄)을
막아주며 어려움에 처해서는 천우신조의 도움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희용신(喜用神)에 해당할 때의 경우이지 흉신(凶神)으로 화(化)하면 없는 것보다 못하다.
4) 문창귀인(文昌貴人)
日干 |
文昌 |
甲 |
巳 |
乙 |
午 |
丙戊 |
申 |
丁己 |
酉 |
庚 |
亥 |
辛 |
子 |
壬 |
寅 |
癸 |
卯 |
문창귀인은 길신(吉神)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일간(日干)을 중심으로 본다.
사주에 문창귀인이 있으면 총명하여 공부를 잘하고 학문을 통해 사회에서
직위를 가질 수 있으며 모든 흉살(凶煞)을 만나도 길신(吉神)으로 변하게 한다.
문창귀인이 비겁(比肩, 劫財)과 같은 기둥이면 형제가 학문이 뛰어나고 교사가
많으며 식상(食神, 傷官)과 같이 있으면 자식과 조모, 장모가 교육자다.
또 추리력, 발표력, 예지력이 뛰어나고 여명(女命)이면 소녀시절에 문학에 심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