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의 신강신약 판단기준
사주의 신강과 신약을 판단하는 기준은 당연히 일간(日干)입니다.
일간은 사주의 주인공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사주가 필요로 하는 용신을 찾는 기준의 하나인 억부용신을 파악할 때 신강과 신약의 판단기준을
가지고 봅니다.
그래서 신강신약을 모른다면 억부용신이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신강신약의 판단는 명리공부의 핵심이론중의 하나입니다.
- 신강신약 판단
강약을 판단하는 기준은 천간과 지지의 통근과 투출여부에 있습니다.
천간은 정신과 마음을 의미하고, 지지는 현실입니다.
하늘의 천간이 지지인 현실에 바탕을 두지 않으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므로 지지에 통근한 천간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월의 지지인 월지(月支 또는 월령月令)에 통근하면 득령(得令)했다고 하여 가장 강한
힘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일간이 일지에 통근하였을때 득지하였다고 합니다.
천간은 어느 지지에 통근하였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즉 월지>시지>일지>년지의 순으로 지지에 통근한 천간이 강한 것입니다.
또한 전체적인 사주팔자 여덟 글자가 일간의 기운을 강하게 하는 생부하는 오행들로 이루어져
있으면 득세(得勢)했다고 하고, 억누르고 기운을 설기하는 세력이 강하면
실세(失勢)하였다고 합니다.
일간이 득령(得令), 득지(得地), 득세(得勢)를 하였다고 하면 최고로 강한 힘을 가지게 되어
일반적인 방법인 설기(洩氣)와 극제(剋制)하는 방법으로는 다루기 어렵습니다.
이렇게 되면 그 기세에 종(從)해야 하는 종강격(從强格)이나 종왕격(從旺格)이 됩니다.
그러나 반대로 실령(失令), 실지(失地), 실세(失勢)를 하게 되면 가장 약한 힘을 가지게 되어 자기자신을
포기하는 기명종격(棄命從格)이 됩니다.
- 천간이 통근하는 지지
천간이 지지에 통근한다는 것은 지지의 지장간에 같은 오행의 글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입니다.
甲 乙 - 寅 卯 辰 亥 未
丙 丁 - 巳 午 未 寅 戌
戊 己 - 辰 戌 丑 未 巳
庚 辛 - 申 酉 戌 巳 丑
壬 癸 - 亥 子 丑 申 辰
이와같이 일간이 지지의 지장간에 뿌리를 내리면 유근(有根)이라 하여 일주가 강해지는
것입니다.
또한 지장간에 같은 오행이 있더라도 초기와 중기보다는 정기의 지장간에 뿌리를
둔 천간이 더 강합니다.
- 득세와 실세(得勢/得勢)
일간을 생조(生助)하는 오행이 사주에 많이 있는 것을 득세했다고 하고, 반대로 극설하는 오행이 많으면
실세했다고 합니다.
일간의 힘을 도와주는 십신은 인성과 비겁이며 일간의 힘을 설기하는 십신은 식상과 재성,관성입니다.
甲 乙 - 壬 癸 甲 乙 亥 子 寅 卯
丙 丁 - 甲 乙 丙 丁 寅 卯 巳 午
戊 己 - 丙 丁 戊 己 巳 午 未 戌 辰 丑
庚 辛 - 戊 己 庚 辛 辰 戌 丑 未 申 酉
壬 癸 - 庚 辛 壬 癸 申 酉 亥 子
이와같이 일간을 생조하는 비겁이나 인성이 사주에 많이 있으면 득세를 했다고 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위의 갑과 을 일간에서 壬 癸 亥 子는 인성이며 甲 乙 寅 卯 는 비겁이 됩니다.
이렇게 일간을 기준으로 신강하면 힘을 설기하는 식상이나 재성,관성에서 용신을 찾고
신약하면 일간의 힘을 생조하는 인성이나 비겁에서 용신을 찾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