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 사주명리학 > 절기력과 역학.24절기와 역학
즐겨찾기HOME 로그인회원가입사이트맵

 
작성일 : 14-10-30 15:16
절기력과 역학.24절기와 역학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3,408  
절기력.24절기.절기와 역학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절기력과 역학.
 
농경민족에 있어서는 보다 나은 풍성한 수확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한난조습한 계절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었는데,
문제는 달의 차고 이즈러짐으로 이루어지는 음력과 태양을 중심으로 한 양력에 의한 달력의 날수와 기후의 차이는 10일 내지 20일정도
차이가 나서 자연을 상대로 한 농경에는 수확에 커다란 지장을 주었다.
 
그리하여 수많은 관찰과 연구를 통하여 계절의 변화와 일치하면서
몇년이 지나도 틀리지 않는 기준을 찾았는데, 춘분 추분 동지 하지
등의 節氣가 그것이다.
 
절기의 구분은 처음에는 동지를 기점으로 해서 1년을 24등분하여 15일마다 한 절기를 두고 그 계절에 맞추어서 이름을 붙였는데,
나중에는 춘분을 기점으로 해서 지구에서 태양이 보이는 궤도인
황도 360도를 24등분하여 15도씩을 움직이는 위치에 해당하는
날을 24절기로 정하였다.
 
그리고 그 한 절기를 3 등분하여 5 일씩 나누어 1년을 72侯 로 나누는데, 따라서 절기에서는 5일이 1 候가 되고, 3 후를 1 氣라 하여 1년을 72후 24절기로 나눈다.
이 때 월초에 해당하는 것을 節 이라 하며 월中에 있는 것은 氣 라 하는데, 24절기는 12절과 12기로 되어 있다.
1년의 시작점을 처음 前漢시대에는 동지로 정하였는데 동지가 1년중에서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때로, 즉 음의 기운이 극에 달해서
이 때부터 음이 끝나고 양의 기운이 새로 시작된다는 一陽始生의 생각 했기 때문인 듯한데,後 漢나라시대부터는 입춘을 년초를 정하였는데, 이유는 1년이 시작 된다는 것은 태양의 부활이며, 농사의 시작과
봄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 봄의 시작인 입춘이 훨씬 지났는데도 추운 날씨로 움츠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태양상의 봄과 기온상의 봄은 약 한달 정도의 시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역학에서는 년월일을 정할때 이러한 절기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정확성과 합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주를 작성하는데 음력이든 양력이든 태어난 날짜와 시간만 정확하게 알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사주를 작성하는 사람이 반드시 기억하고 주의하여야 할 점은 사주를 정할때는 무엇보다도 어느 절기와 어느 절기 사이에 태어났느냐가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된다.
 
예를 들어 음력3월에 태어났어도 그 해의 절기에 따라 경칩지나
청명이전에 태어났으면 卯月이 되고 청명이 지나고 입하 전에 태어났으면 辰月, 입하가 지나 태어났으면 巳月이 되기도 한다.
 
입춘(立春)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로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입춘 전날은 절분(節分)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면서 이날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
 
특히 입춘날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등의 입춘방(立春榜)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立春節食)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節食)으로 입춘날에 먹는 햇나물 무침이 있다.
 
입춘 기간에는 동풍(東風)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冬眠)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어류(魚類)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한다.입춘일의 일진이 갑을이면 풍년이 들고 병정이면 날씨가 무덥거나 가물고,
무기일에는 곡식에 피해가 많이 나고, 경신일에는 사회가 시끄럽거나 소요가 나고 임계일에는 홍수나 폭설사태가 난다고하며,
입춘일의 날씨가 청명하면 풍년이 드는데 보슬비가 내리면 그해 겨울에는 폭설이 쌓이고, 동풍이 불면 사회가 안정되고 태평하지만 서풍이 불면 태풍피해나 나라가 시끄럽고 남풍이 불면 무덥거나 가물고,
북풍이 불면 장마가 진다고 점을 쳤다.
 
우수(雨水)
 
우수는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음력 정월 중기(中氣)로 양력(陽曆)으로는 2월 19일경이다.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雨水)라고 한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大同江) 물이 풀린다 라는 옛말이 전해온다.
이때부터는 천지에 있는 음양의 기운이 만물을 소생시키고 길러주는 활동을 더욱 활발히 하여 초목은 비를 맞고 윤택하게 생장한다.
 
경칩(驚蟄)
 
경칩은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2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3월 6일경이다. 이 무렵은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이 돋고 동면(冬眠)하던 동물이 깨어 꿈틀 대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명칭이 정해졌다.
이 때의 풍속(風俗)에는 개구리 정충(精蟲)이 몸을 보(保)한다고 해서 개구리 알을 잡아먹고, 흙 일을 하면 탈이 없다 해서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하고, 이 날 보리 싹의 성장상태로 보리 농사의 풍흉(風凶)을 점쳤다고 한다.
 
춘분(春分)
 
춘분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는 음력 2월 중기(中氣)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양력으로는 3월 21일경이다.
춘분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소리가 들리며,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한다특히 춘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일치하여 양의 기운과 음의 기운이 균형을 이루므로, 모든 도량(度量)을 통일해 쓰도록 조절하고 저울눈을 고르게 하거나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임산부에게 술을 주어 마시게 하고 화살을 건네주는 의식을 하는 풍속이 있었다.
 
청명(淸明)
 
청명은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4월 5일경이다.
 
날씨를 이야기할 때 `청명하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하늘과 땅이 산뜻하게 맑고 밝은 깨끗한 기후의 시기로 만물의 생기가 왕성해지는 시기이다.
 
보통 중국 제(齊)나라의 개자추(介子推)라는 인물에서 유래된 한식(寒食)날이 이 날을 전후해서 있어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도 있다.
 
곡우(穀雨)
 
곡우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4월 20일 경이다.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 해진다는 것이고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의 준비가 시작된다.
 
입하(立夏)
 
입하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5월 6일경이다. 곡우(穀雨) 후 15일이다. 여름에 들어 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① 청개구리가 울고, ②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 왕과(王瓜: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그 이름에 해당하는 夏의 기원은 사람이 옷을 입고 머리에 관을 쓴다는 뜻으로 문명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이를 자연에 비유하면 나무에 잎이 돋아나 성장하고 땅에는 풀이 덮인다는 뜻으로 풀이한다.
 
소만(小滿)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기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망종(芒種)
 
망종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5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6월 6일경이다. 의미는 까끄라기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고 모내기나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망종 기간에는 까마귀가 나타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한다.
망종일의 일주일 지난 후부터는 장마철로 접어들고 곸팡이가 피는 계절이며 수분의 증발이 왕성해져 건조하게 된다.
 
하지(夏至)
 
하지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에 있는 음력 5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6월 22일경이다.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熱量)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량이 계속 쌓여 하지(夏至)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三伏)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이 때가 되면 양기가 극도로 성해져 음양의 두 기운이 사생결단을 하는 때이므로 경건한 마음으로 음기에 의해 몸이 마르지 않도록 嗜好(기호)와 욕망을 최대한 절제하며 심신을 안정시켰다.
 
특히 하지일에는 경솔하게 돌아다니지 않고 화를 내는 것도 금지 하였으며 음식은 물론이요 남녀간의 동침도 금하였다.
 
소서(小暑)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7월 7일경이다.
날씨는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소서 때에는 땅속에서 냉기가 올라오기 시작하는 때이나 지상에는 아직 열기가 극성하여 한기와 열기가 서로 섞이는 때이다.
 
대서(大暑)
 
대서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대개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음의 기운이 점점 강해지고 양의 기운은 점점 시들어 들며 약해지는 시기로 脾臟이 음기운을 받아 홀로 강성해지므로 기름지고 단 음식을 피하고 짠 음식을 먹어 약해진 신장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입추(立秋)
 
입추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7월 절기(節氣)로 양력(陽曆)으로는 8월 8일경이다.
입추 기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선조들은 金氣를 받아 들인다는 뜻에서 흰색으로된 옷과 치장을 하고, 개고기와 참깨를 함께 먹어 양생을 도왔으며 금기운이 발생하여 숙살의 기운이 강해지는 때이므로 상벌을 엄정하게 구분하여 忠義를 엄정하게 가르쳤다 한다.
 
처서(處暑)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있는 음력 7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8월 23일경이다.
의미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이다.
처서 기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 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 벼가 익는다고 한다.
 
백로(白露)
 
백로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절기(節氣)로 양으로는 9월 8일경이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추분(秋分)
 
추분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중기(中氣)로 춘분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같고 양력으로는 9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百穀)이 풍성한 때이다.
추분 기간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 창을 막고,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한다.
 
한로(寒露)
 
한로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0월 9일경이다.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체 시기에 해당하며 오곡백과(五穀百果)를 수확한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돌며, 국화꽃이 노랗게 피어난다고 한다.
 
상강(霜降)
 
상강은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양력으로는 10월 24일경이다. 이 시기에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져 수증기가 지표에 엉겨 서리가 내린다. 상강 기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초목이 누렇게 변하고,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고 한다.
 
입동(立冬)
 
입동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1월 8일경이다.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서 얼고, 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소설(小雪)소설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중절(中氣)로 양력으로는 11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설(大雪)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이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위의 계절은 동지(冬至)를 지나서부터다.
 
동지(冬至)
 
동지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12월 22일경이다.
동지는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다. 민간에서도 동지절식(冬至節食)을 먹었는데,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새알심이라는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먹고 또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소한(小寒)
 
소한은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월 6일경이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대한(大寒)
 
대한은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1월 21일경이다.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大寒)이지만 실제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춥다.
 
인간이 역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이다.
특히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즉 농사를 짓기 위하여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음력은 달의 운동에 근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달의 변화는 잘 나타내 주지만 태양의 움직임은 잘 나타내 주지 않는다.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운동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음력 날짜와 계절의 변화는 잘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 즉 태양의 운동을 표시하여 주는 24절기(또는 24기)를 도입하여 같이 사용한다.
 
따라서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24절기로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태음태양력(우리가 흔히 음력이라 말하는 것은 원래 `태음태양력 太陰太陽曆`의 준말이다 여기서 `陰`은 `달`을 뜻하고 `陽`은 태양을 뜻한다)이라고 한다.
 
즉 달(태음)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여 주는 역법이란 뜻이다.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春分點,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황도가 0˚ 일 때 춘분, 15˚ 일 때 청명, ....., 300˚ 일 때 대한으로 한다.(24 × 15 = 360)
이들 24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주지만
우리 나라의 기후가 정확하게 들어 맞는 것은 아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상상태에 맞춰
붙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늘날과 같이 생태계가 엄청나게 달라진 상황에서는 더욱이 들어맞기 어렵다.절기는 이처럼 음력을 쓰는 농경사회에서 필요에
따라 양력과 관계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탓에
결과적으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사이와 19∼23일사이에 온다.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부분 15일이며, 경우에
따라 14일이나 16일이 되기도 한다.
 
이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어서 태양을 15도 도는데 걸리는
시간이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Total 10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사주결정에 있어서 절입조정,태어난 시간계산 산출 관리자 11-30 10431
공지 해외에서 출생한 사람의 사주 관리자 10-16 10983
공지 천간희기론,십간별 일대일 조합의 희기,十干別 一對一 조합… 관리자 07-05 13923
공지 사주명리학 공부방법 관리자 05-28 22019
109 갑오일주(甲午日柱), 사주명리학 일주론 강의 제31강 관리자 04-24 774
108 사주명리학 공부방법,사주보는 법,사주학 공부방법 동영상… 관리자 04-06 735
107 재미있는 12지지(地支)이야기 관리자 11-30 5331
106 지지육합,육합,육합의 이해 관리자 07-10 4888
105 천간,천간합,간합의 이해 관리자 07-10 3221
104 주방 풍수 인테리어. 관리자 03-14 3571
103 현관 풍수. 관리자 03-14 2829
102 거실 풍수 인테리어. 관리자 03-14 3093
101 침실 풍수 인테리어 관리자 03-14 3070
100 재물복을 부르는 실내풍수 관리자 03-14 3037
99 재물운이 따르는 욕실풍수 관리자 03-14 3460
98 생활풍수 - 서재, 공부방 책상은 절대 창을 등지고 놓지 말아… 관리자 03-14 5422
97 재물운을 좋게 하는 안방풍수 관리자 03-14 2880
96 이수 형충회합 특강 관리자 03-13 2537
95 통근,통근(通根)하는 힘의 세력 비교 관리자 11-08 3503
94 절기력과 역학.24절기와 역학 관리자 10-30 3409
93 궁합,속궁합 보는 방법 관리자 07-10 15834
92 천간희기론,십간별 일대일 조합의 희기,十干別 一對一 조합… 관리자 07-05 13923
91 십이운성(十二運星)의 내용 관리자 07-05 5645
90 십이지지,12지지 의미와 해설 관리자 03-17 4470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