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학 자료실 > 성명학자료실 > 아호(雅號)와 당호(堂號)
즐겨찾기HOME 로그인회원가입사이트맵

 
작성일 : 11-09-30 17:09
아호(雅號)와 당호(堂號)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7,816  
1. 아호(雅號)의 의미
 
아호는 사전에 나와 있는 대로 서술하면 '문인이나 예술가 따위의 별호를 높혀 부르는

말'입니다.

이름의 앞에 부르는 우아한 호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추사 김정희, 다산 정약용, 매월당 김시습..... ... 우리들에게 친숙한 느낌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사람들이 아닌 예술분야이나 특정분야의 사람들이 원래의 이름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호를 줄여서 그냥 호(號)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중국은 당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송나라 때에는 호(號)를 가지는 것이 보편화 되었고,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호(號)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성인들은 명(名), 자(字), 호(號)가 있었습니다.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면 처음으로 붙여주는 이름이 명이며, 나이 20세가 되어 관례를

올리면 자를 지어주었는데 성인이 되면 이름을 부르지 아니하고 자를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號는 일반적으로 나를 잘 알고 있는 스승이나 선배가 지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號는 이름과 달리 좋은 문장이나, 자연물, 사는 곳, 산 이름, 사람의 성격 등을

고려해서 짓습니다.
 
요즘에는 삶이 풍요해지고 여유가 생기면서 일반사람들도 아호를 갖기를
 
원하는 추세입니다.
 
각종 모임이나 여러 인간관계에서 원래의 이름보다는 좀 더 우아하고 부르기
 
편한 아호를 사용하면 보다 윤택한 삶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 아호 밑에다 山人, 散人, 道人, 主人, 老人, 翁, 居士, 逸士, 退仕, 布衣 등을 쓰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山人: 속세를 떠나 산에 사는 사람
2.散人: 어느 한 곳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사람
3.道人: 학문과 예술의 한 분야에 정진하고 있는 사람
4.主人: 대개 '당호' 또는 산 이름 밑에 붙여서 쓰는 것으로 그 집, 또는 그 산의
주인이란 뜻
5.老人: 다 늙은이란 뜻으로 '老人'은 호 밑에 쓰고 '노'는 호 밑에 혹은 위에 쓰기도 한다.
6.翁: 老人과 같은 뜻으로 늙은이란 뜻.
7.居士, 逸士, 退仕: 속세를 떠나 조용한 초야나 심산,
절에 들어가 도를 닦는 선비를 뜻한다.
8.布衣 : 속세를 떠나 초야에 살면서 도를 닦는 야인이란 뜻
대부분의 아호는 겸손을 미덕으로 하여 높고 고귀한 글자보다 소박하고 정감있는 문자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옛날 선비들은 아호로 거처하는 곳이나 자신이 지향하는 뜻, 좋아하는 물건을 대상으로

짓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2. 아호는 어떻게 짓는가?
 
고려시대 이규보는 그의 <백운거사록(白雲居士綠)>이란 책에서
 "거처하는 바를 따라서 호로 한 사람도 있고, 가 간직한 것을 근거로 하거나,
혹은 얻은 바의 실상을 기준으로 호를 지었다"라고 말합니다.
아호역시 성명학의 작명원칙에 맞추어 짓기도 하지만 성명학의 형식과 원칙을
배제하고 좀 더 자유롭게 짓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리고 신용호라는 사람은 호를 짓는데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所處以號): 생활하고 있거나 인연이 있는 처소를 호로 삼은 것.(지명을 號로)
둘째, (所志以號): 이루어진 뜻이나 이루고자 하는 뜻을 호로 삼는 것.
(예컨대 여초 김응현 선생은 항상 처음과
같은 자세로 공부에 임하겠노라고 여초(如初:처음과 같이)
셋째, (所遇以號):자신이 처한 환경이나 여건을 호로 삼은 것
(퇴계 이황 선생은 고향으로 물러나 시내를 벗하면서
공부에 전념하겠노라고 퇴계(退溪)라함)
넷째, (所蓄以號): 자신이 간직하고 있는 것 가운데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호를 삼습니다.

3. 아호의 글자수
호는 글자수가 두 자인 경우가 가장 많고, 한자, 석자, 넉자로 된 경우도 있고, 그 이상의
글자수로 된 것도 있습니다.
추사 김정희선생은 '추사', '완당', '예당', '시암', '과파', '노과'등 호도 여러개였습니다.
매월당 김시습할 때 매월당은 석자의 호가 됩니다. 보통 두자나 석자의 호가 주류입니다.
옛사람들은 이렇게 자신이 호를 지으면 호를 짓게 된 변(辨)이나 기(記)를 짓기도 하고,
남에게 호를 지어 줄때도 그 글자의 출전이나 뜻을 밝힌 글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종류의 글을 호변(號辨) 혹은 호기(號記)라고 합니다.

4. 당호(堂號)
당호(堂號)는 '屋號' 라고도 하나 당호가 보편적으로 널리 쓰입니다.
이 당호는 작가 자신의 호와는 달리 사는 집 또는 작업실 등을 말합니다.
당호의 내용은 그 작가의 취미 생활 또는 스승들과의 관계를 내용으로 합니다.
堂, 山房, 書屋, 軒, 亭, 盧, 閣, 樓, 室 등을 붙입니다.

 
 

Total 2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 성명학의 오행왕약론(五行旺弱論)| 관리자 09-30 2780
24 작명절차(방법) 관리자 09-30 2880
23 이름자의 종류 관리자 11-03 3084
22 신생아작명,작명소,작명원,작명소유명한곳,… 관리자 07-05 3488
21 작명과 사주와의 관계 관리자 09-26 3857
20 좋은 작명이란? 관리자 09-26 3948
19 작명의 핵심사항 관리자 01-11 4018
18 작명,개명,이름개명,신생아작명,좋은이름이… 관리자 05-29 4106
17 ※ 개명의 원인과 신생아 작명의 중요성, 피… 관리자 01-11 4129
16 훈민정음과 음오행(音五行) 관리자 11-03 4354
15 성명글자의 강(强), 약(弱), 허(虛), 실(實)| 관리자 09-30 4412
14 좋은 이름의 조건 10가지 관리자 09-30 4417
13 이름을 알면 운명이 보인다 관리자 09-26 4518
12 성명학 수(數)의 의미 관리자 09-30 4662
11 성명학의 음양오행론 관리자 09-26 4703
10 돌림자(항렬)의 의미 관리자 09-30 4942
9 신생아작명 원칙 관리자 11-28 5474
8 ※ 작명절차와 작명방법 관리자 02-22 6169
7 여자이름에 삼가해야 하는 글자 관리자 11-18 6896
6 아호(雅號)와 당호(堂號) 관리자 09-30 7817
 1  2